메인콘텐츠 바로가기

전국최대규모 비행훈련장!

무인항공기 비행교육원

동영상자료실

또 변이 나왔다… 면역회피력 가장 높은 BA.2.75 확산

페이지 정보

작성자 소한철 작성일23-05-07 16:47 조회7회 댓글0건

본문

http://n.news.naver.com/mnews/article/417/0000831174?sid=104


전세계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(코로나19) 재유행을 이끌고 있는 오미크론 하위변이 바이러스 BA.5보다 면역회피력이 높은 것으로 추정되는 새 변이 BA.2.75가 해외에서 빠르게 확산하고 있다.


10일(현지시각) 미국 경제전문지 포브스 등 외신에 따르면 세계보건기구(WHO)는 감시 중인 우려 변이 세부 계통에 BA.2.75를 포함했다.


WHO는 우려변이로 간주하고 면밀히 관찰할 필요가 있는 오미크론 및 스텔스 오미크론의 하위변이를 우려 변이 세부 계통으로 분류해 모니터링 하고 있다. 우세종으로 떠오른 BA.5와 BA.4도 포함돼 있다.


BA.2.75는 스텔스 오미크론으로 불리는 BA.2의 세부변이다. 인도에서 지난달 초 처음 발견된 후 인도 내 검출률이 40%대 후반까지 올랐다. 지금까지 미국, 캐나다, 독일, 호주, 영국 등 10여개국에서 확인됐다. 현재까지 국내에서는 BA.2.75 확진자가 보고되지 않았다.


연구원들 사이에서 이 변이는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반인반수의 이름인 켄타우루스라는 별칭으로 불리는 것으로 알려졌다. 포브스는 "이름을 붙인 이유는 불분명하지만 신화 속 반인반수에서 이름을 가져왔다는 점을 볼 때 이 변이가 이전의 변이와는 매우 다르다는 것을 시사한다"고 평가했다.


BA.2.75의 특징은 스파이크 단백질에 일어난 변이가 기존 오미크론 및 세부계통 변이들보다 많다는 점이다. 기존 변이보다 면역회피력이 더 강해졌을 가능성이 높은 셈이다. 코로나19의 스파이크 단백질은 인체 세포의 표면과 가장 먼저 접촉하는 부분이다. 이 부위의 변이가 발생하면 바이러스가 세포 내로 침입하기 더 쉬워지게 되고 바이러스의 전파력은 더욱 강해진다.


전문가들은 BA.2.75가 BA.2보다 스파이크 단백질 9개 부분에서 추가 변이가 일어난 것으로 보고 있다. 뉴욕에서 재확산을 주도했던 BA.2.12.1 변이는 BA.2에서 2개의 추가 변이가 확인된 바 있다.

댓글목록
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